' 천봉 ' 도서 검색 결과 (18)
-
낭왕무오
| 총 8권
천봉 신무협 장편 소설 『낭왕무오』 천하를 관조한 위대한 싸움꾼, 운천! 배신의 칼날에 망혼벽 아래로 사라지다! 사람들은 이후 평화가 찾아오리라 믿지만 한낱 위선일 뿐. 그런 강호 앞에 나타난 낭인, 무오. “무사는 오직 무사를 향해 검을 뽑는다.” 죽음에서 돌아와 피의 철칙을 다시 세우는 절대자 복수의 칼을 든 그의 행보를 기억하라!
-
세상 끝에서 온 무사
| 총 12권
첫눈이 내리던 한겨울의 어느 날. 역사상 최초로 무림을 일통했던 천왕성주 주천무가 배신의 칼날 아래 쓰러졌다. 그를 따랐던 모든 이들이 죽어 갈 때, 단 한 명만은 주천무의 마지막 명령을 수행하기 위해 사라졌다. 제왕의 그림자라 불리며 적들에겐 죽음과 공포의 대명사였던 혈왕대주(血王隊主) 엽우(燁雨). 그의 검끝이 향하는 곳에서 새로운 전설이 피어난다.
-
무사정천
| 총 18권
“누구요, 당신은…….” “나? 무림의 생사여탈을 관장하는 사신. 미래의 너이기도 하지. 후후후.” 백 년 후의 내가 나를 찾아왔다 하찮은 용병으로 하루 벌어 하루 먹고살기 바빴던 내게 놈과의 만남은 인생역전의 시작이었다 깨어난 잠재력 그 위에 더해진 강력한 무력, 그리고 쓰고 싶지 않은 최후의 한 수까지 “감당할 수 없는 적이 나타난다면 어쩔 수 없이 그걸 선택할 수밖에.”
-
송문귀환
| 총 17권
화산파 최악의 둔재였던 송문은 어쩌다가 천하사패의 제자가 되고 “뭐야? 오십 년이 흘렀는데 하나도 안 늙었네?” 천하 고수가 되어 출도한 그를 기다리고 있었던 것은 폭삭 망해버린 사문과 몇 남지 않은 똘망똘망한 제자들 “오늘부터 사숙이라 불러라.” 돌아온 사숙, 송문의 화산파 재건기 “이제 와서 하는 얘긴데, 사실 내 꿈은 막 사는 거였어.”
-
용문쟁천(개정판)
| 총 6권
천하최강의 절대자 투신을 아버지로 둔 청년 혁린. 절대 무공을 배우겠다며 가출하다! 은거기인과 만날 것을 기대하며 유람하지만 그를 기다리고 있던 것은 전설적인 마도의 고수 마검이었다. “저, 제가 문파를 세우면 장로가 되어 주시렵니까?” 성분은 따지지 않는 기이한 문파, 용문(龍門). 그들의 천하를 향한 기이한 행보는 그렇게 시작된다!
-
창천(개정판)
| 총 7권
무협 작가 천봉이 선보이는 또 하나의 서사시! 『창천』 누구보다 강호의 피를 싫어하던 소년, 무영. 소년의 바람과 달리 그를 기다리던 것은 피로 얼룩진 운명이었다. 일인참(一人斬) 만인활(萬人活)! 자신의 소중한 이들을 살리기 위해 검을 든 무영의 호쾌한 행보! 그는 푸른 하늘을 빛낼 태양의 전설이 된다!
-
묵객(개정판)
| 총 8권
의문의 서찰, 그곳에 찍혀있는 직인 두 글자, '묵객'. 마교의 교주도 무림맹의 맹주도, 죄를 지으면 처벌을 받아야 한다! 거대 문파의 수장이라 해도 피해갈 수 없는 정의의 집행관, 그러나 의문의 종적을 남기고 묵객이 사라져 간다? "모든 것을 되돌려 주지!" 잃어버린 정의를 되찾으려는 천금성의 마지막 묵객, 이제 그가 키워온 힘을 내보일 차례다.
-
마검쟁천
| 총 10권
무협의 거장, 천봉이 이야기하는 열여섯 번째 전설! 『마검쟁천』 천하의 안녕을 위해 협의를 펼치던, 화룡가 의문의 세력에 의해 멸문당하다 그로부터 이십 년…… 화룡가의 유일한 생존자가 돌아왔다! “다시 한번 묻겠다. 놈은 어디에 있느냐.” 가문의 복수를 위해 화룡의 검을 뽑아 든 설휘 “당신의 그 검이 무림의 최종병기가 되어 줄 거라 믿어요.” 전란의 시대, 설휘의 행보가 천하를 평정한다!
-
칼이여, 바람처럼
| 총 11권
『무적도』『절대무사』『백야쟁천』 작가 천봉이 선보이는 열다섯 번째 전설! 『칼이여, 바람처럼』 고대의 술법 제령술을 사용해 영웅의 육신을 차지한 대마두 흑월 “이제부터 더 멋진 삶을 살 것이다. 후후후!” -그게 당신 마음대로 될까요? “……웬 놈이냐!” -당신이 차지한 이 몸의 주인입니다. 그토록 바랐던 젊고 튼튼한 몸을 얻었지만 영웅의 삶이란 최악의 빚을 떠안고 말았다 -저를 대신하여 강호를 지켜 주십시오. 이제 그에게 남은 건 영웅과의 약속뿐 그 약속을 위해 마검을 버리고 신검을 손에 쥐었다!
-
귀환무사
| 총 17권
세상에서 지워진 존재, 십 년이라는 세월 동안 그는 철저히 혼자였다. 자신을 버린 화산을 용서해야 하는가. 세상의 공적이 될지도 모르는 몸으로 사랑하는 여인에게 돌아갈 수 있는가. 화산에서 버려지고 천하에게 외면당한 사내의 귀환, 그리고 진정한 군림천하의 첫 걸음이 내딛어졌다. 강자존의 법칙만이 존재하는 강호! 그곳에서 전해 내려오는 위대한 신마의 전설, 그 역사적인 장이 지금부터 펼쳐진다.
-
월령검주
| 총 13권
약하다는 이유만으로 철저히 버려졌던 사내. 천하가 모르는 신비의 초인들에 의해 무적의 절대 강자가 되어 십 년 만에 귀환을 하지만, 그를 맞은 이는 아버지도 형도 아닌 천하절색의 호위무사. 우군이라고는 하나 없는 거대집단 백야성에서 사내가 믿을 사람은 오직 자신의 호위무사뿐. “월령검의 변화를 깨우치면 천하가 내 것이 되리라.” 십팔만 리 대륙을 가르며 피어나는 위대한 사랑 앞에 하늘도 땅도 머리를 조아린다. * 필명 천봉 강호의 은밀한 곳에서 고수를 꿈꾸며 살아가는 삼류무사입니다. 다들 행복하세요. 주요 작품 : 북천적가, 무적도, 마객 신마전설, 묵객, 창천, 낭왕무오, 흑안의 마검사, 귀환무사, 초인지로 등 다수
-
북천마검
| 총 12권
최강의 힘을 얻어 복수를 끝낸 철운휘. 그저 평범하게 살고픈 마음에 무림인의 삶을 선택하지 않고 고향으로 돌아간다. 하지만 그를 기다리고 있었던 것은 풍비박산이 나버린 집과 한 소녀의 유모가 되어버린 어미뿐. 하지만 어미마저 마지막 부탁을 하고 숨을 거둔다. 어미의 부탁은 자신이 길렀던 소녀의 표국을 지켜주라는 것. 결국 철운휘는 어미의 부탁을 저버리지 못하고 망해 버린 표국의 표사가 된다. “그땐 정말 몰랐었소. 일개 표사인 그가 천하만마(天下萬魔)가 두려워하는 마검이었다니……”
-
10%
백야쟁천
| 총 14권
천봉 신무협 장편소설『백야쟁천』 마도의 편에 서 검을 든 사신 설무진. 모든 것은 딸의 복수를 위해서였다. 천하대전을 승리로 이끈 그는 모든 영광을 뒤로 하고 시골 촌부가 되어 제자를 기르게 되는데…. 하지만 딸 같은 제자가 원수의 소굴인 무림맹에 들어간 것도 모자라 이제는 무림맹의 사서가 되어 달라고?
-
마왕의 표국
| 총 8권
천봉의 신무협 장편소설 『마왕의 표국』 마계의 천 년 전쟁을 종식시키고 스스로 마왕의 권좌에 오른 태오칸. 신을 모욕했다는 누명을 쓰고 인간 세상으로 추방을 당한다. 살아남기 위해, 그리고 무적의 마병 화령을 찾기 위해 선택한 표사의 꿈. 그러나 운명은 그를 화산파의 괴짜 사숙으로 만든다.
-
마객
| 총 8권
천봉 신무협장편소설 『마객 신마전설』 여덟 명의 절대자를 휘하에 거느리고 천하를 지배할 운명을 타고난 구천마루의 전승자! 그러나…… 벗의 배신으로 모든 것을 잃어버리고 무림세가의 하인이 되어 버린 사내, 그가 지상최강의 마인이 되어 돌아왔다! 이제 구천과 십지를 통틀어 가장 강했던 사내의 복수행이 시작된다!
-
무적도
| 총 11권
천봉 신무협 장편소설『무적도』 사랑하는 소녀를 위해 무사의 길을 선택한 사내, 위소. 사내는 무사가 되었고 무적이 되었으며, 하늘 아래 모든 이들의 위에 우뚝 섰다! “당신이라면 군림의 길을 걸어도 되지 않소?” “…… 귀찮아.” 사랑을 위해 무적의 길을 선택한 사내, 그의 무적행로가 이제 시작된다.
-
북천적가
| 총 9권
천봉의 신무협 장편소설. 운명을 뛰어넘어 스스로 제왕이 되고자 하는 한 남자. 잃어버린 왕을 대신해 세(三)하늘에 대항해 온 적가(赤家)에 드리운 멸문의 그림자. "힘이 있는 누구라도 주인 없는 왕자에 올라 북천의 진정한 힘을 깨어나게 했다면 오늘의 이러한 수모는 당하지 않았을 것을…"?충절이라 여겼던 신념에 배신당한 한 가문. "아들아 부디 패천(覇天)의 힘을 얻어 스스로 북천의 왕좌에 오르거라." 더 이상 제왕을 기다리지 않겠다. 스스로 제왕의 자리
-
절대무사
| 총 11권
천봉 신무협 장편소설『절대무사』 그저 멋진 호위무사가 되기를 원했던 소년. 그러나 운명은 그를 무정한 강호로 이끌었다. 나를 막지 마라. 적에겐 피도 눈물도 없다. 인정사정도 봐주지 않는다. 포기란 없다. 패배? 그런 건 잊은 지 오래다. 세상이 냉혈무정객이라 부르는 무적의 절대무사 혁린, 그게 바로 나다.